프로그래밍을 하다보면 많은 경우 정숫값을 다룹니다. 특히 금액을 관리하는 프로그램을 다룬다면 큰 정수를 많이 다루는 경우가 생깁니다. 큰 정수 상수를 사용할 때 0의 개수가 일정 개수 이상 늘어나면 수의 크기를 한 눈에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. 코드에 직접 값을 입력하기 위해 입력하는 숫자를 리터럴 문자열 또는 리터럴 literal 이라고 부릅니다. 100, 0xA 와 같은 값이 리터럴에 해당합니다. 자릿수가 여러 개인 큰 정수는 수의 크기를 빠르게 파악하기 쉽지 않습니다. 회계, 금융처럼 큰 자릿수의 금액을 다루는 곳에서는 돈의 크기를 구별하기 쉽도록 세 자리마다 구분자를 적습니다. 돈의 크기를 구별하는 분리자로 쉼표를 사용합니다. c++은 큰 정수 리터럴을 입력할 때 숫자 분리자를 이용하여..